복지국가와 기본소득의 이해
인구 구조가 저출산 고령화로 진행되면 연금보험 등의 수급자 수는 증가하는데 비해 보험료 부담자 규모는 감소되어 간다. 조세부담률 상승을 억제하고 사회보장부담율을 인상하는 방안이 과연 견디어 낼 수가 있을까?
경제 선진국에 있어서 노동시장의 변용은 사회보장제도를 지속시키는 조건으로 간주되어 온 완전고용이 환상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시키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일관적으로 경제성장을 통한 고용 확대를 외치고 있지만 일시적으로 완전고용에 성공한 국가는 없다. 오히려 실업자 규모는 증가하는 경향이며 만성적인 대량실업이 존재하고 있다. 생산성이 향상되지만 고용기회는 감소되는 현대경제의 근본적인 딜레마로 인하여 완전고용은 환상에 불과하다는 인식이 지지를 얻고 있다. 사회보장에 있어서 소득보장과 고용보장의 연계를 강화하는 개혁보다도 완전고용 모델에서 분리한 소득보장 모델을 모색하는 움직임이 부상하였다.
사회보장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현재화시키는 중요한 원인은 인구 구조의 저출산 고령화와 만성적인 대량실업의 문제라고 생각된다. 이런 불일치는 복지국가의 제도적 핵심인 사회보험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장기적으로는 사회보장의 부분적 개선이 아니라 국가에 의한 생활보장 방법의 패러다임 전환을 압박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 기본 소득 구상이 국제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배경에는 이러한 불일치를 직시하지 않을 수 없는 복지국가 개혁을 요구하는 현실이 깔려있는 것이다.
(복지국가와 기본소득, 이명현, 경북대학교 2014)
'더불어 잘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와 재활 (0) | 2018.10.16 |
---|---|
사회복지 실천에서 안락사에 관한 논의 (0) | 2018.10.16 |
현대 조직이론 (0) | 2018.10.16 |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 (0) | 2018.10.04 |
자본주의 사각지대를 해결하는 사회복지사의 자세 (0) | 2018.10.04 |